Mono by KUSA Projects

eeruwang

This is eeruwang's note with thoughts, ideas, and silly talks

Latest posts(17)

다음 계획은 무엇인가요
다음 계획은 무엇인가요

얼마나 이 마리를 많이 들었는지 모르겠다. 거의 매번 새로운 사람과 네트워크를 할 때마다 들었던 것 같다. 이제는 꽤 스트레스고 사람들이 원하는 대답은 나에겐 없다. 그럼에도 멈출 수는 없다. 내가 여유롭다고 할 만큼의 상황도 아니고 또 이 상황이 빠르게 불안정해질 것이라는 것도 알기 때문이다. 하지만 도저히 모르겠다. 어서 더 많이 작업도

by eeruwang Apr 03, 2025
2025, 읽을 것들 다시 소화해 볼 것들

* Tanke, J.J., 2009. Foucault’s Philosophy of Art: A Genealogy of Modernity, Philosophy, aesthetics and cultural theory. Continuum, London ; New York. * Groys, B., 2010. History Becomes Form: Moscow Conceptualism. MIT Press, Cambridge, Mass.

by eeruwang Dec 31, 2024
이사야 벌린의 낭만주의의 뿌리
이사야 벌린의 낭만주의의 뿌리

전반적 낭만주의의 다중성에 관하여, 그 정의할 수 없음에 관하여 프랑스대혁명 1789년 칸트 1724-1804 발터 벤야민 1892-1940 1760년에서 1830년의 세월 사이에 무언가 변혁” (Berlin, 2021, p. 44)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 -> 태도의 변화 = 볼테르가 위선자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변화 -> “이런 태도는 독일에서 싹을 퇴워 빠른 속도로 자라났다.” (Berlin,

by eeruwang Dec 29, 2024
푸코의 주체의 해석학 - 1982년 1월 6일 강의 전반부
푸코의 주체의 해석학 - 1982년 1월 6일 강의 전반부

푸코의 주체의 해석학 1982년 1월 6일 강의 후반부 pp. 64 - 79 데카르트 이후 17세기까지 철학과 영성에 대해, 또 자기 배려 개념이 배제된 것은 ‘데카르트의 순간’에 “데카르트가 인식을 위해서는 철학만으로 충분하다고 말할 때, 또 인식이 한계가 있다면 이 한계는 전적으로 인식 주체의 구조 내에. 다시 말해서 인식을 허용하는 바

by eeruwang Dec 22, 2024
푸코의 주체의 해석학 - 1982년 1월 6일 강의 후반부
푸코의 주체의 해석학 - 1982년 1월 6일 강의 후반부

1982년 1월 6일 강의 전반부 pp. 39–63 주체성과 역사 간의 관계 → 기원후 1,2세기에 출현해 규정된 αphrodisia의 체제를 선택 → 아프로디지아 체제 내에서 근대 유럽 성모럴의 근본 토대 를 발견 → 아프로디지아 αphrodisia = 성적 행동들의 체제와 특수한 기제에서 벗어나 ‘주체와 진실’이라는 일반적인 용어를 추출 → 주체와 진실의 관계 → ‘자기 배려’ (souci

by eeruwang Dec 15, 2024
Your link has expired. Please request a new one.
Your link has expired. Please request a new one.
Your link has expired. Please request a new one.
Great! You've successfully signed up.
Great! You've successfully signed up.
Welcome back! You've successfully signed in.
Success! You now have access to additional content.